2025. 5. 9. 20:25
728x90
SMALL


**1. 소음 발생 위치 및 상태 확인:**

* **어떤 롤러에서 소리가 나는지 정확히 확인해 보세요.** (아이들러 풀리, 텐셔너 풀리 등)
* **녹슨 정도를 눈으로 확인해 보세요.** 표면의 얇은 녹인지, 깊게 부식된 상태인지에 따라 조치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소음이 발생하는 시점을 파악해 보세요.** (시동 직후, 특정 속도에서, 에어컨 작동 시 등)

**2. 임시 조치 (표면 녹의 경우):**

* **WD-40과 같은 방청 윤활제를 살짝 뿌려 보세요.** 롤러 베어링 안쪽으로 스며들도록 충분히 분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벨트 자체에는 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소음이 멈추거나 줄어들면 일시적인 효과일 수 있습니다.** 녹이 계속 진행될 수 있으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3. 근본적인 해결 (녹이 심하거나 소음이 지속될 경우):**

* **해당 롤러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녹슨 롤러는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심한 경우 벨트 손상이나 끊어짐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가까운 정비소에 방문하여 점검 및 교체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가 정비를 원하실 경우:**
    * 해당 차량의 정비 매뉴얼을 참고하여 정확한 부품 번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필요한 공구를 준비해야 합니다.
    * 작업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어려움을 느낀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추가적으로:**

* 팬밸트와 함께 다른 롤러들의 상태도 함께 점검하여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오래된 차량의 경우, 팬밸트 세트 (벨트와 롤러 여러 개)를 한 번에 교체하는 것이 유지 보수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728x90
LIST
Posted by moovin
2025. 5. 8. 12:18
728x90
SMALL

클럭 스프링이 고장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에어백 경고등 점등:** 클럭 스프링은 에어백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어 고장이 나면 에어백 경고등이 계기판에 켜질 수 있습니다.
* **혼(경음기) 작동 불량:** 스티어링 휠에 있는 혼 버튼이 작동하지 않거나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작동 불량:** 오디오, 크루즈 컨트롤, 전화 등의 스티어링 휠 리모컨 버튼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스티어링 휠 회전 시 소음 발생:** 스티어링 휠을 돌릴 때 딱딱거리는 소리, 긁히는 소리 등 평소와 다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티어링 휠 잠김 또는 뻑뻑함:** 스티어링 휠을 돌리는 것이 평소보다 어렵거나 뻑뻑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퓨즈 끊어짐:** 클럭 스프링 내부의 전기적 문제로 인해 관련 퓨즈가 반복적으로 끊어질 수 있습니다.
* **에어백 미작동:** 가장 심각한 경우로, 사고 발생 시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클럭 스프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 관계없이 에어백, 혼, 각종 스티어링 휠 리모컨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안전을 위해 즉시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LIST
Posted by moovin
2025. 5. 8. 11:59
728x90
SMALL




**일반적인 배선 연결 예시:**

1.  **후방 카메라 전원:**
    * **(+) 전원:** 보통 후진등의 (+) 극에 연결합니다. 후진 기어를 넣었을 때만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 접지:** 차량의 금속 부분에 연결하여 접지합니다.

2.  **후방 카메라 영상 신호:**
    * **영상 출력 케이블 (RCA 또는 전용 커넥터):** 후방 카메라에서 나오는 영상 신호 케이블을 룸미러 모니터의 영상 입력 단자에 연결합니다.

3.  **룸미러 전원:**
    * **(+) 전원:** 보통 차량의 시동 ON 시 전원이 들어오는 ACC (Accessory) 전원이나 B+ (Battery+) 상시 전원에 연결합니다. 룸미러의 기능 (모니터, 센서 등)을 사용하기 위한 전원입니다. ACC에 연결하는 경우 시동을 끈 상태에서는 룸미러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며, B+에 연결하는 경우 항상 전원이 공급되므로 방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접지:** 차량의 금속 부분에 연결하여 접지합니다.

4.  **후방 센서 (해당하는 경우):**
    * 후방 센서 컨트롤러에서 나오는 각 센서의 배선은 컨트롤러의 해당 단자에 연결합니다.
    * 후방 센서 컨트롤러의 전원 및 접지는 룸미러 전원과 동일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 후방 센서 컨트롤러에서 룸미러로 연결되는 신호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단자에 맞게 연결합니다. (경고음, 거리 표시 등을 위한 신호)

**배선 연결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차량 배터리의 (-) 극을 분리한 후 작업하세요.** 감전 및 차량 전기 장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배선 연결 부위는 절연 테이프 등으로 꼼꼼하게 마감 처리하여 합선을 방지하세요.**
* **배선이 차량 내부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정리하세요.**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각 커넥터의 극성을 정확히 확인하고 연결하세요.** 잘못된 연결은 장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배선 작업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배선도 예시 (개략적인 그림):**

```
+---------------+     +-----------------+     +-----------------+
| 후방 카메라     |---->| 영상 출력 케이블 |---->| 룸미러 모니터     |
+---------------+     +-----------------+     +-----------------+
      |
      | (+) 전원 ----> 후진등 (+) 극
      | (-) 접지 ----> 차체 접지

+---------------+     +-----------------+
| 룸미러 본체     |---->| 전원 케이블     |----> ACC 또는 B+ 전원
+---------------+     +-----------------+
      |
      | (-) 접지 ----> 차체 접지

+---------------+     +-----------------+     +-----------------+
| 후방 센서 (각각)|---->| 센서 배선       |---->| 센서 컨트롤러   |
+---------------+     +-----------------+     +-----------------+
                                            |
                                            | (+) 전원 ----> 룸미러 전원과 연결 (또는 별도 전원)
                                            | (-) 접지 ----> 차체 접지
                                            | 신호선 ----> 룸미러 (경고음, 거리 표시)
```


728x90
LIST
Posted by moovin
2025. 5. 8. 11:57
728x90
SMALL

2013년식 봉고3에 핸들 열선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교체해야 할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열선 핸들:** 열선 기능이 내장된 핸들 자체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2012년 ~ 2016년식 봉고3 순정 열선 핸들 부품을 찾아보시는 것이 호환성이 좋습니다.
2.  **클럭 스프링 (Clock Spring):** 기존 핸들에 클럭 스프링이 없다면, 열선 기능을 위한 배선 연결을 위해 열선 기능이 지원되는 클럭 스프링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클럭 스프링은 핸들이 회전할 때 배선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부품입니다.
3.  **열선 스위치:** 핸들 열선을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순정 스위치를 핸들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거나, 센터 콘솔 등에 있는 다른 스위치와 통합된 형태의 부품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  **배선:** 열선 핸들, 스위치, 그리고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배선이 필요합니다. 순정 배선 커넥터와 핀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열선 모듈 (선택 사항):** 일부 차량의 경우, 핸들 열선 기능을 제어하는 별도의 모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013년식 봉고3의 경우, 필요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728x90
LIST
Posted by moovin
2023. 12. 4. 20:28
728x90
SMALL

내차는 기아 봉고3 순정 내장탑이다.

 

쿠팡 프레시백에 물이 항상 흐르기 때문에 물구멍 필요하다.

 

바닥이 강화 나무판이다.

그밑은 바로 철재 프레임...

나무판의 두께는 대략 15mm 정도 되는거 같다.

 

작업은

20mm 나무홀쏘로 나무판 구멍을 뚫은 후 간단히 실리콘 앞쪽 팁을 끼워넣으면 된다.

고정은 실리콘으로 살짝~

 

끝.

728x90
LIST
Posted by moovin
2023. 6. 16. 17:16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2023. 2. 25. 17:57
728x90
SMALL

알페온 혼으로 교체하였다.

소리는 좋으나 고정브라켓이 맘에 들지 않는다.

차대에서 가지치기로 너무 길게 뻗어있기때문이다.

짧게 차대쪽에 달수 있게끈하는게 좋을거 같다. 경유차는 차량진동도 많고 크기 때문이다.

 

커넥터 문제도 있는데 유튜브에보면 혼쪽 커텍터가 옆쪽에 고정부위가 있어 칼날로 깍고 끼우는데 

이방법의 경우 다른커넥터를 구입할 필요도 없고 전선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간편하다.

하지만 정확히 결합하기가 어렵다. 고정부위가 없기때문에 계속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이다.

그나마 고정을 깔끔하게 하려면 밀려나는 방향쪽으로 케이블 타이를 걸고( 어설프게 걸리기는 하나 어느정도 앞뒤로 고정가능)그 이후 바로 전기테이프로 케이블타이가 빠지지 않게 고정 및 방수처리를 할수 있다.

728x90
LIST
Posted by moovin